Q1.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계속되는데요, 그렇지만 하반기 취업 시장에 대한 관심은 벌써 뜨겁습니다. 대기업들의 하반기 채용 규모가 계획보다 커질 전망이란 뉴스가 있었죠.
네, 8월 1일 뉴스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신입사원을 목표보다 500명 늘린 4,500명을 뽑고, 경력사원도 예정보다 천명 늘어난 1,600명을 하반기에 선발하기로 했다고 하네요. 4,5급(고졸 및 전문대졸)사원까지 포함해 총 2만 2000 명을 채용할 예정이랍니다. 엘지그룹과 현대/기아차그룹도 하반기 5천 여명을 뽑을 거라고 합니다.
Q2. 희소식이네요. 여름철 휴가기간이지만 취업 준비, 이직 준비하는 분들 많습니다. 경력자들은 준비의 가장 기본이지만, 은근히 시간이 소요되는 이력서, 경력기술서를 미리 업데이트 해 놓기에 좋은 시기로 보이는데요. 그래서 오늘 주제가 이력서, 경력기술서 잘 쓰는 방법이군요.
네, 몇 번 다뤄진 주제로 알고 있지만 그래도 항상 도움이 되는 주제라고 생각되어서 오늘 다시 한 번 검토 차원에서 잡아봤습니다.
Q3. 직장을 옮기지 않으면 이력서를 업데이트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하면 안되겠죠?
물론이죠. 정기적으로 이력서를 업데이트하면서 본인이 어떤 업무를 하고 있으며, 어떤 커리어를 밟아오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도 커리어를 관리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또 하나 기억해야 할 점은, 지원 시 포지션에 따라, 기업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는 자기소개서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고 스펙 중심, fact중심의 이력서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또 다른 회사는 성장과정, 성격 등을 포함하여 꼼꼼히 쓴 자기소개서를 중요하기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씨제이그룹의 경우는 면접을 개인이 쓴 자기소개서에 근거하여 질문하므로 자기소개서가 굉장히 중요하죠.
Q4. 이렇게 중요한 이력서, 자기소개서 잘 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오늘은 일반적인 사항보다는 사람들이 많이 간과하는 세부사항 중심 위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평상시 많은 이력서를 검토하는데요, 느낀 점, 조심해야 할 점을 말씀 드릴까 합니다.
Q5. 먼저 교육 과정에 대해서인데요.
네, 교육 과정은 정규 교육 과정만을 의미합니다. 요즘 어학 연수, 단기 코스 등을 갔다 온 사람들이 워낙 많은데요, 이런 프로그램은 특이 사항이나 language등의 항목에 적어야 합니다.
Q6. 정규 교육 과정에 적으면 대학원 등 정규 학위를 취득한 것으로 오해를 받는 경우도 있을 것 같습니다.
네, 길게 다녀온 경우에는 그렇죠. 분리를 해서 기간을 명시하고, 어느 기관에서 어떤 코스를 밟았는 지를 적으면 됩니다. 또 하나 주의할 점은 편입학의 경우인데요, 어느 대학을 들어갔다고 자퇴하고 다시 시험을 보고 다른 대학에 입학하거나, 국내 대학을 다니다가 외국 대학으로 다시 들어가는 경우, 또는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4년제 대학에 편입하는 경우 등에 많은 사람들이 편입학전의 학교를 적지 않는데요, 반드시 적어야 합니다.
Q7. 그렇군요. 확인을 보통 하나요?
네, 인사팀에서는 고등학교 졸업년도를 기준으로 공백이 있는 경우 왜 공백이 있는지 문의를 하는데요, 저희도 미쳐 체크를 하지 못하고 이력서를 기업에 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런 경우 대부분 확인을 요청합니다. 먼저 적지 않은 경우에는 도덕성 문제로 의심을 받는 등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Q8. 요즘 구직난이 심각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인턴 과정을 밟는데요, 인턴 과정은 어떻게 적어야 할까요?
인턴 과정은 정규 커리어에 넣지 말고 따로 분리를 해야 합니다. 경력이 짧은 사람들일수록 짧은 경력에 부담을 느껴서 인턴쉽 한 것을 정규 커리어에 집어 넣는데요, 오히려 이력서가 지저분해 보이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Q9. 그럼 인턴쉽은 어떻게 표시를 하면 좋을까요?
역시, 기타 항목이나 트레이닝 등의 항목을 만들어서 넣으면 좋겠습니다. 예외는 인턴쉽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인데, 이런 경우는 바로 정규직 아래에 집어 넣는다면 업무 연관성을 인정 받아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습니다.
Q10. 재직했던 회사를 기재함에 있어서 또 주의할 점이 있다면요?
잘 알려진 회사의 경우에는 회사 이름과 재직 기간만 적으면 되지만, 잘 안 알려진 회사의 경우에는 해당 회사의 웹페이지와 함께 간단하게 회사에 대한 설명을 적으면 좋습니다. 업종, 직원수, 매출, 회사를 제일 잘 알려주는 사항 등 2-3줄로 간단히 설명하면 이력서를 검토하는 사람을 배려하는 것입니다.
Q11. 그렇군요. 보통 이력서를 보다가 모르는 회사가 나오면 구글 검색 등을 통해 확인하겠지만, 이렇게 정리를 해서 주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또 주의할 점이 있다면요?
공백 기간이 있다면 이유를 간단히 명시하면 좋습니다. 물론, 헤드헌터 등을 통해서 지원을 하면 헤드헌터가 대신해서 공백 사유 등을 설명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공백 기간에 대해서 이력서나 경력기술서에 간단히 적으면 좋습니다.
Q12. 그렇군요. 이직을 할 때 공백 없이 바로 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나 공백이 생기는 경우도 있지요.
네, 한 두 달 정도라면 모르지만 거의 6개월, 1년이 넘는다면 반드시 명시를 해야 합니다. 또한 이직 사유도 간단히 적으면 도움이 됩니다. 특히 회사의 경영 상황 악화, 부도 등의 부득이한 상황으로 나오게 된 경우에는 명시하여 불이익이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Q13. 이직 사유에 대해서도 회사에서 많이 궁금해 하죠?
제 생각에는 회사에서 경력자에게 가장 궁금해하는 두 가지가 있다면, 하나는 세부 경력 사항, 두번째는 이직사유라고 생각합니다. 그 만큼 왜 회사를 그만두었는지, 왜 이직을 하려고 하는지 궁금하게 생각하며, 이 부분이 걸려서 불합격 처리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
Q14. 경력기술서를 잘 적는 방법도 좀 설명해주시죠.
신입사원이 자기소개서였다면, 경력사원의 자기소개서는 주로 경력을 기술하는 경력기술서가 되겠죠. 길이는 가능한 A4한 장 안팎이 좋으며, 재직했던 회사별로 했던 업무를 기술하면 되겠습니다.
Q15. 했던 업무를 자세히 적자니 너무 길고 지루한 느낌이며, 또 반대로 간략하게 적자니 너무 성의 없다는 느낌을 받는데요.
경력기술서야 말로 본인의 스타일대로 적을 수 있겠으나, 일반적인 방법을 알려드리면, 먼저 자신의 전문 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전문가의 경우, ‘나는 신제품 개발, 소비자 조사, 커뮤니케이션 전략, 유통 전략 등 마케팅 전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은 마케팅 스페셜리스트이다’라고 나의 전문성을 정의 내린 후, 이를 뒷받침하는 fact로써, 재직했던 회사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중요한 achievement가 있었는지를 기술할 수 있습니다.
Q16. 마무리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나의 경력이 어떻게 해당 회사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부연 설명하면 좋겠습니다. 업무상 나의 강점을 설명하는 것과도 일맥상통하고요. 이미 말씀 드린 바처럼 내 스타일대로 나의 경력을 잘 표현하는 방식을 취하면 되고요, 하나 기억 할 점은 내가 하고 싶은 얘기를 하기 보다는 읽는 상대방이 알고 싶은 얘기를 중심으로 풀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Q17. 예전에 인터뷰 관련 주제에서, 내가 걸려하는 부분은 반드시 인터뷰에서 질문을 당한다.. 라는 얘기를
하신 기억이 나는데요, 경력기술서를 쓰며 이런 생각을 염두에 둔다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그렇죠. 인터뷰를 하게 될 때 상대방이 어떤 얘기를 알고 싶어할까를 생각해본다면 경력기술서를 어떤 방향으로 쓸 지 감이 잡힐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많은 분들이 안 하는 것, 오타 확인을 반드시 하시기 바랍니다!
Q17. 오늘 이력서, 경력기술서 쓰는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위 글은 MBN 라디오 브라보마이라이프 - 직장생활백서(2010년 8월 05일)에 기고한 전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