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출신 커리어 컨설턴트 박운영씨의 취업 특강 |
|
||||
이를테면 자신의 경험과 지식으로 얻어낸 성과물을 보여주면 좋다. ▶다른 사람보다 책임을 많이 맡았던 일 ▶타인들이 기대하지 않았지만 좋은 성과를 낸 일 ▶결과는 실패했지만 새로운 시도 ▶중요한 인물의 칭찬 ▶성과물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일 등을 보여주면 좋다. 팩트를 중시하는 것은 그의 전직(前職)과도 관련 있다. 그는 언론사인 연합뉴스에서 기자로 일하다 2000년 커리어(경력개발) 컨설턴트로 전직했다. 박 부사장은 취업을 낙관하는 명문대생에게는 위기 의식을 강조했다. 취업에 계속 실패하는 한 명문대생은 그에게 "학벌도 좋고 꼭 될 거란 자신감이 많았는데도 떨어졌다"며 "도대체 왜 내가 대기업에 못 들어갔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그의 대답은 이랬다. "대기업 취업은 고시입니다. 고시 공부를 하지 않은 사람이 어떻게 합격할 수 있겠습니까." 명문대 출신은 자신들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견해가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 조직 내 위화감을 조성하고, 회사에 대한 애정이 적으며, 이직률이 높다는 식의 평가가 있기 때문이다. 명문대 출신이 겸손하고 남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춘다면 그래서 더 돋보일 수 있다. 서류 전형에서 고배를 마시기 쉬운 비명문대나 지방대 출신 학생들에겐 자신만의 강점을 찾아내라고 조언한다. "이력서를 100군데씩 돌리지 마세요. 다섯 군데만 찍어서 그 회사에 대해 확실하게 준비해 보세요. 예를 들어 그 회사에 대한 최근 신문기사를 스크랩해 두고 기업 분석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당장 현업에 투입할 수 있는 준비된 인재라는 인상을 강하게 줄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합격만 시켜주시면 무슨 일이든지 하겠다'거나 '월급 안 받고도 일하겠다'는 식의 '읍소형' 자세는 피하는 게 좋다. 박 부사장은 "학벌은 좀 떨어질지 모르지만 OO업무 관련 아르바이트를 하는 등 이 일자리를 얻기 위해 준비를 열심히 했다는 것을 보여주면 된다"고 했다. 박 부사장의 조언을 항목별로 정리했다. ◆ 커리어 관리는 대학 신입생 때부터=기업 입장에서 학점은 지원자의 학업 능력보다 성실성을 평가하는 잣대다. ◆ 자기소개서 작성법=자기소개서는 나를 소개하는 곳이라기보다 회사가 왜 나를 뽑아야 하는지를 쓰는 곳이다. 인사 담당자는 자기소개서에서 시선을 끄는 부분에 표시해 뒀다가 면접 때 질문 재료로 삼기도 한다. 면접 때의 답변이 자기소개서와 다르면 지원자의 신뢰성에 타격을 준다. 자기소개서 등 제출 자료는 반드시 복사본을 마련했다가 면접 전에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자기소개서는 가급적 여백이 없도록 작성한다. 빈칸이 많으면 성의없이 보일 수 있다. ◆ 정보도 전략적으로 나열해야=정규 교육과정을 설명할 때는 고등학교부터 시작한다. 그 이전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대학 과정은 지원하는 직종과 업종에서 관심을 가질 만한 학습이나 프로젝트를 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록하자.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 가령 학원이나 자격증, 외국어 등에 대해서는 해당 직업에서 필요한지를 판단해 선택적으로 넣자. 각 회사에서 지정한 양식의 이력서를 작성할 때는 빈칸을 모두 채우는 게 좋다. 약어나 비속어는 쓰지 않도록 주의한다. 학력이든 경력이든 가장 최근 것부터 기록하는 게 순서다. ◆ 외국어 능력 돋보이게 하는 법=영어 면접 등에서 '문법' 따지며 고민하다 말 한마디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있다. * 밑줄 쫙~ ① 이력서 쓰기 전에 목표 설정부터 분명히 하라. ② 모범생 시대는 종언을 고했다. ③ 30대에 사춘기를 맞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자신의 미래를 주도적으로
준비해라. ④'내 마음의 보석상자'를 찾아라. ⑤ 대학 때 했던 아르바이트, 인턴십도 경력 사항이다. ⑥ 자기소개서는 개성 강하게 작성하자. ⑦ 글은 두괄식으로, 역삼각형으로 써라. ⑧ 상대방이 인정할 만한 구체적 사례를 넣어라. ⑨ 기업과 업무를 알기 위한 노력을 해라. ⑩ 10년 뒤 오늘 이 시간에 뭘 하고 있으면 행복할지 생각해 보라. ⑪ 이름.학교.전공.연락처.장점.희망사항 등을 적은 취업 명함을 준비하라. ⑫ 영업직을 기피하지 마라. |
출처: 중앙일보 글=서경호 기자, 사진=임현동 기자 | |
본 자료는 2005년 10월 04일 중앙일보에 보도 되었습니다. |